Windows 10 전원 꺼진 상태에서 WOL (Wake on Lan) 사용하기
Wake on Lan 이란? 1
BIOS / UEFI 설정
BIOS / UEFI에서 WOL 설정은 Advanced 혹은 ACPI 설정이나 Power Management 라는 이름 하위에 주로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이름의 옵션이 있다면 켜주셔야 WOL을 할 수 있습니다.
- Wake on PME
- Wake on PCI Devices
- Wake on Lan from S4/S5
모든 BIOS나 UEFI 설정을 다 다룰 수는 없지만 제가 본 몇 가지 예를 사진과 함께 보여드리겠습니다.
삼성 BIOS
HP BIOS
HP BIOS의 경우에는 'Wake on PCI Device from S5'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습니다.
LG BIOS
LG BIOS가 제일 복잡했는데, 먼저 'LAN Power Under S3'와 'LAN Power Under S4/S5'를 'LAN Power On'으로 맞춰주어야 합니다. 그 다음 'Wake on Lan from S4/S5'옵션과 'Wake Up by PCIE Device from S4/S5'를 'Enabled'로 설정해야 합니다.
Asrock UEFI
Asrock UEFI의 경우에는 'PCI Devices Power On'이란 이름으로 되어 있고, 이 옵션을 'Enabled'로 설정해야 WOL이 되었습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버 설정
Intel 네트워크 어댑터
- Windows 10 : https://downloadcenter.intel.com/download/25016/Intel-Network-Adapter-Driver-for-Windows-10
- Windows 8, 8.1: https://downloadcenter.intel.com/download/21642/Intel-Network-Adapter-Driver-for-Windows-8-
GUI 방식
'장치 관리자' 창이 뜨면 '네트워크 어댑터' 하위에 있는 '인텔 이더넷 커넥션 ㅇㅇㅇ'가 있습니다. 더블 클릭해 줍니다.
'속성'창이 뜨면 '전원 관리' 탭에서 'Wake on LAN(W)' 그룹 하위에 'Wake on Magic Packet', 'Wake on Pattern Match', '전원 끄기 상태의 Wake on Magic Packet'를 모두 선택해 줍니다. 패턴 매치는 패킷이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특정 패턴과 일치하면 켜주는 옵션입니다.
CLI 방식
인텔 PROSet 네트워크 어댑터의 경우 Powershell cmdlet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립트를 통해 어댑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켜고 다음의 스크립트를 입력하거나 ps1파일로 만들어서 실행합니다.
$RSS = Get-IntelNetAdapterSetting -RegistryKeyword "*WakeOnMagicPacket"
$RSS | Set-IntelNetAdapterSetting -RegistryValue "1"
$RSS = Get-IntelNetAdapterSetting -RegistryKeyword "*WakeOnPattern"
$RSS | Set-IntelNetAdapterSetting -RegistryValue "1"
$RSS = Get-IntelNetAdapterSetting -RegistryKeyword "EnablePME"
$RSS | Set-IntelNetAdapterSetting -RegistryValue "1"
Realtek 네트워크 어댑터
GUI 방식
'장치 관리자'까지는 Intel 네트워크 어댑터와 같습니다.
'Realtek PCIe GBE Family Controller 속성'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3개의 옵션의 값을 '사용'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 Wake on Magic Packet
- Wake on pattern match
- 웨이크 온 랜 종료
몇몇 가이드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과 같이 절전 옵션을 다 끄라고 하는데, 저의 경우에는 이러한 옵션은 끄지 않고 진행했으나 정상적으로 동작했습니다. 3개의 옵션을 모두 '사용'으로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전원 끄기 상태에서의 WOL이 되지 않는다면 그 때 다시 절전 옵션을 건드려도 무방할 것 같네요.
Broadcom 네트워크 어댑터
Broadcom 네트워크 어댑터의 경우 Windows 10에서 기본으로 잡히는 드라이버를 사용해도 별 문제가 없이 전원 끄기 상태에서의 WOL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어댑서 속성에서도 전원 끄기 상태에서의 WOL 옵션이 따로 없는 것으로 보아 그냥 되나 봅니다.
GUI 방식
'장치 관리자' 까지는 Intel 네트워크 어댑터와 동일합니다.
'Broadcom NetLink (TM) Gigabit Ethernet 속성'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2개의 옵션을 'Enabled' 하시면 됩니다.
Wake on Magic Packet
Wake on Pattern Match
빠른 시작 끄기 2
윈도우 7에서는 기본 종료 동작이 클래식 종료 상태 (S5)이고 모든 장치들은 저전력 상태 (D3)를 갖습니다. S5 상태에서의 WOL은 공식적으로 지원되지는 않았지만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가 가능하게 해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Windows 8, 8.1, 10의 경우에는 '빠른 시작' 기능이 도입되면서 기본 종료 동작은 하이브리드 종료 상태 (S4)이고, 모든 장치들은 D3에 놓입니다. S4나 S5에서의 WOL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어댑터도 종료 상태에서의 배터리 소모나, 전력 소모를 전혀 원하지 않는 소비자들을 위해 S5나 S4에서의 WOL은 꺼져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 8, 8.1, 10의 경우 WOL은 절전 (S3)과 최대 절전 모드 (S4) 상태에서의 WOL만 지원합니다.
그렇다고 Windows 8, 8.1, 10에서 전원 끄기 상태 (S5)에서 WOL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Windows 8, 8.1, 10에 있는 '빠른 시작' 기능을 끄게 되면 Windows 7에서 처럼 네트워크 어댑터의 설정에 따라 전원 끄기 상태 (S5)에서 WOL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GUI 방법
- GUI는 Windows 10을 기준으로 하며, '제어판'이 아닌 'Windows 설정'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이전 버전의 Windows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전원 옵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설정'창이 뜨면 '시스템'을 선택합니다.
왼쪽에 '전원 및 절전'을 클릭한 후, '관련 설정' 하위에 '추가 전원 설정' 버튼을 클릭해 '전원 옵션'으로 넘어갑니다.
'전원 옵션 창에서 왼쪽에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을 클릭합니다.
UAC가 켜져 있다면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버튼이 있고, '종료 설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먼저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버튼을 눌러 '종료 설정'을 활성화 시킵니다. 그 다음 '빠른 시작 켜기(권장)'에 체크를 해제해 빠른 시작 기능을 끕니다.